소방 업무를 시작한지 이제 만 2년이 되었다.
가장 메인 업무는 소방안전관리자 업무(소방시설 자체점검, 소방법적선임자 관리, 소방훈련 등)인데, 나에게 주어진 업무를 쳐내기 급하여, 소방시설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개인적으로 공부하는 방법말곤 없는 것 같다. 소방 업무를 해보니, 기존 안전 업무에 비해서 소방은 범위가 상당히 넓은 것 같다는 생각이다.
무튼, 소방 업무를 하시는 분이라면.. 알아야 하는 가압송수장치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다.
가압송수장치 뜻부터, 종류, 원리 등에 대해서 천천히 알아보자.
가압송수장치 뜻
화재가 발생하면, 이를 진압하기 위한 수계소화설비는 필요로 하는 압력과 유량으로 방수할 수 있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압력과 유량을 얻기 위해 필요한 시설이 가압송수장치인데, 수계소화설비 전체 성능과 소화효과를 좌우하는 가중 중요한 설비라고 보면 된다. 영어로는 Pressure Water Supply System이다.
가압송수장치 종류
1. 펌프 방식
- 펌프와 동력원을 설치하여 가압송수에 의하여 방수량과 방수압력을 얻는 방식으로 가장 많이 적용되는 방식이다.
2. 고가수조 방식
- 옥상 등 최상층부의 소화방수구보다 높은 위치에 수조를 설치하고, 고가수조의 바닥면에서부터 최상층부분의 방수구까지의 높이를 낙차로 환산하여 필요한 규정방수압력 방수량을 확보하는 것으로 자연낙차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3. 압력수조 방식
- 탱크에 수원을 확보하고 공기 등으로 가압하는 방식이다.
4. 가압수조 방식
- 탱크 내 물을 압입하고 탱크 내 압축공기에 의하여 송수하는 방식이다.
가압송수장치 설치기준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성능기준에서..)
1. 펌프 방식
- 전동기 혹은 내연기관에 따른 펌프를 이용하는 가압송수장치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라 설치해야 한다. 다만, 가압송수장치의 주펌프는 전동기에 따른 펌프로 설치해야 한다.
1)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점검하기에 충분한 공간이 있는 장소로서 화재 및 침수 등에 재해로 인한 피해를 받을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할 것
2) 동결방지조치를 하거나 동결의 우려가 없는 장소에 설치할 것
3) 특정소방대상물의 어느 층에 있어서도 해당 층의 옥내소화전(두 개 이상 설치된 경우에는 두 개의 옥내소화전)을 동시에 사용할 경우 각 소화전의 노즐선단에서의 방수압력이 0.17메가파스칼(호스릴옥내소화전설비를 포함) 이상이고, 방수량이 분당 130리터 이상이 되는 성능의 것으로 할 것. 다만, 하나의 옥내소화전을 사용하는 노즐선단에서의 방수압력이 0.7메가파스칼을 초과할 경우에는 호스접결구의 인입 측에 감압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4) 펌프의 토출량은 옥내소화전이 가장 많이 설치된 층의 설치개수(옥내소화전이 두 개 이상 설치된 경우에는 두 개)에 분당 130리터를 곱한 양 이상이 되도록 할 것
5) 펌프는 전용으로 할 것
6) 펌프의 토츨측에는 압력계를 설치하고, 흡입측에는 연성계 또는 진공계를 설치할 것
7) 펌프의 성능은 체절운전 시 정격토출압력의 140퍼센트를 초과하지 않고, 정격토출량의 150퍼센트로 운전 시 정격토출압력의 65퍼센트 이상이 되어야 하며, 펌프의 성능을 시험할 수 있는 성능시험배관을 설치할 것
8) 가압송수장치에는 체절운전 시 수온의 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순환배관을 설치할 것
9) 기동장치로는 기동용수압개폐장치 또는 이와 동등한 이상의 성능이 있는 것을 설치할 것.
다만, 학교, 공장, 창고시설(일부 옥상수조를 설치한 대상 제외)로서 동결의 우려가 있는 장소에 있어서는 기동스위치에 보호판을 부착하여 옥내소화전함 내에 설치할 수 있다.
10) 제9호 단서의 경우에는 주펌프와 동등 이상의 성능이 있는 별도의 펌프로서 내연기관의 기동과 연동하여 작동되거나 비상전원을 연결한 펌프를 추가 설치할 것
11) 수원의 수위가 펌프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가압송수장치에는 물올림장치를 설치할 것
12) 기동용수압개폐장치를 기동장치로 사용할 경우에는 충압펌프를 설치할 것
13) 내연기관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어반에 따라 내연기관의 자동기동 및 수동기동이 가능하고, 상시 충전되어 있는 축전지 설비와 펌프를 20분 이상 운전할 수 있는 용량의 연료를 갖출 것
14) 가압송수장치가 기동이 된 경우에는 자동으로 정지되지 않도록 할 것
15) 가압송수장치는 부식 등으로 인한 펌프의 고착을 방지할 수 있도록 청동 또는 스테인리스 등 부식에 강한 재질을 사용할 것
2. 고가수조 방식
- 고가수조의 자연낙차수두(수조의 하단으로부터 최고층에 설치된 소화전 호스 접결구까지의 수직거리를 말한다)는 제 1항 제3호에 따른 방수압 및 방수량이 20분 이상 유지되도록 해야 한다.
3. 압력수조 방식
- 압력수조의 압력은 제1항 제3호에 따른 방수압 및 방수량이 20분 이상 유지되도록 해야 한다.
4. 가압수조 방식
- 가압수조시가압송수장치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설치하되, 가압수조의 압력은 제1항 제3호에 따른 방수압 및 방수량이 20분 이상 유지되도록 해야 한다.
오늘은 가압송수장치 뜻, 종류, 설치기준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았다.
어려운 용어지만, 시간이 나면 자주 읽어보면서 개념을 익혀야 할 것 같다.
소방안전관리자 및 소방 담당자 화이팅!!!!!!!
'소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방 자격증 종류 확인하고 소방 분야로 취업하자 (1) | 2024.06.05 |
---|---|
소방시설 자진설비, 임의설비 차이 및 착공신고, 감리자 지정대상 확인하자 (0) | 2024.06.05 |
소방공무원 가산점 확인하고 공채, 경채 등 알아보자 (ft.2024년도 소방 경채 응시자격기준) (0) | 2024.05.31 |
소방안전관리자 1급 응시자격, 시험과목, 난이도, 취업 등 확인해보자 (0) | 2024.05.28 |
비상콘센트설비 설치대상 및 기준 등에 대해서 알아보자 (0) | 2024.05.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