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방

소방펌프 흡입측 배관 부속품에 대해서 알아보자 (후드밸브, 개폐밸브, 스트레이너, 플렉시블 조인트)

by 클솔봄 2024. 6. 8.

소방 업무를 하면 소방시설에 대해서 잘 알고 있어야 하는데, 사실 회사에서는 누가 상세하게 가르쳐주지 않는다. 그렇기에 혼자 찾아보고 공부를 해야 하는데, 특히 각종 밸브류나 배관, 펌프 등은 내용도 어렵고 자료도 방대하여 여기저기 흩어져 있다. 그래서 이번에는 소방펌프 흡입측 배관 주변(후드밸브, 개폐밸브, 스트레이너 등)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후드밸브 (Foot valve)

후드밸브는 수원이 펌프보다 아래에 있는 경우 흡수구와 입펠러 사이의 배관에 물을 채워 주기 위해 흡수관 말단에 설치하여 펌프 기동시 물의 흐름을 펌프측으로만 흡상되게 하고 펌프 정지시 흡입관 내 물을 가두어 두어 다시 수조로 물이 내려가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체크밸브 기능)과 수조 내 이물질이 흡입되는 것을 걸러주는 여과 기능을 한다,

 

 

후드 밸브

 

개폐밸브 (개폐표시형)

개폐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Open/Close 하는 밸브이다.

개폐밸브 종류로 개폐표시형밸브(육안으로 밸브 개폐를 쉽게 알 수 있음), 게이트밸브(육안으로 개폐상태 확인 불가), 글로브밸브(유량 조절형 밸브, 성능시험배관에서 유량계 우측에 설치하여 유량을 조절) 등이 있다.

 

소방펌프 흡입측 말단의 후드밸브 보수 필요시에 개폐밸브를 사용할 수 있다.

 

 

개폐밸브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NFTC 103)에는 '2.5 배관' 내용 중 '2.5.3.2 급수배관에 설치되어 급수를 차단할 수 있는 개폐밸브는 개폐표시형으로 할 것. 이 경우 펌프의 흡입측배관에는 버터플라이밸브 외의 개폐표시형밸브를 설치해야 한다' 라고 명시되어 있다. (보통 소방펌프실에는 OSY밸브가 설치되어 있다)

 

 

 

 

 

스트레이너 (Strainer)

배관에 설치되는 스트레이너는 이물질을 걸러줌으로써 오작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국말로는 여과기라고 한다. 유체 및 배관 형태, 특성 등에 따라 U자, Y자, V자 등 다양하다. (보통 Y자형)

내부에는 이물질을 걸러주기 위한 망이 있다. 여기에 유체과 통과하면서 녹 찌꺼기, 이물질이 걸러진다.

 

스트레이너는 주로 배관설비의 주요장치 부분 전단에 설치한다. (소방펌프도 전단인 흡입측)

소형배관에서는 나사방식, 대형배관에서는 볼트 체결하는 후렌지 타입방식으로 되어 있다. 

 

소방펌프에서는 펌프 기동 시 흡입측 배관에 모래, 침전물 등 이물질이 펌프 케이싱 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펌프의 고장이나 기능의 저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스트레이너 (Y 타입)

 

필터와 스트레이너 차이

필터와 스트레이너 기능이 유사하긴 하다.

근데, 차이점이 몇 개 있는데, 우선 주요 차이점은 포획하는 입자 크기다.

필터는 40마이크론 미만의 입자를 거르고, 스트레이너는 40마이크론보다 큰 입자를 거른다.

스트레이너는 눈에 보이는 이물질, 필터는 눈에 보이지 않는 이물질이라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또 다른 차이점은 유체가 매체를 통과할 때의 유체 압력이다.

스트레이너로 들어가는 액체는 스트레이너로 들어갈 때 압력이 감소하지 않는다고 보면 된다.

그러나, 압력이 감소하면 스트레이너를 교체하거나 청소해야 한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반대로 필터를 통과하는 액체나 가스는 압력이 눈에 띄게 감소한다. (약간 망이 훨씬 작으니 그렇게 생각하길)

 

마지막 차이점은 스트레이너, 필터는 이물질 제거하는 교체 가능한 스크린이 있는데..

스트레이너는 스트레이닝 장치를 여러번 재사용이 가능한데, 필터는 한 번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플렉시블 조인트 (Flexible joint)

플렉시블 조인트는 펌프의 기동 또는 기동 후 정지시에 펌프로부터 진동을 흡수하여 펌프의 흡입측 배관으로 전달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배관 보호 용도) 그래서 펌프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설치한다.

 

플랙시블 조인트

 

 

연성계 (또는 진공계)

수원의 수위가 펌프보다 아래에 있는 경우 흡입송출방식에서는 흡입배관 내 압력은 항상 대기압 이하가 된다. 연성계(Compound Gauge)는 진공압(부압)과 양압을 모두 측정 가능하며, 보통 물의 흡입상태를 확인(흡입압력 표시)하기 위하여 펌프의 흡입측 배관에 설치한다. (진공계는 부의 게이지 압력을 측정하는 게이지로, 측정 범위는 0cmHG-76cmHG이다.

 

*참고로 수원의 수위가 펌프의 위치보다 높거나 수직회전축펌프의 경우에는 연성계, 진공계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참고로 압력계(Pressure Gauge)는 펌프의 토츨측에 설치하여 토출압력을 나타낸다.

 

압력계-연성계-진공계

 

연성계 압력계 차이

 

 

글을 마무리하며...

소방펌프 흡입측 배관 주요 부분(후드밸브, 개폐밸브, 스트레이너, 플렉시블 조인트, 연성계)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글을 적기 위해 정확하게 모르는 부분은 찾아보고, 찾아보고 생각하고, 적으면서 다시 생각하고...

이 과정이 학습의 효과가 된다. 사실 이 글을 적기 전과 마무리 시점인 지금의 나의 역량이 향상이 된 것이 느껴진다.

 

얼른 출근하여 소방펌프실에 가서 흡입측 배관을 내 눈으로 한 번 보고싶다.

조직 특성상 신입사원이 들어오지 않을 확률이 높은데... 들어온다면 흡입측 배관 주변은 설명해주고 싶다.

 

오늘도 끝은.... 대한민국 소방안전관리자, 소방안전관리보조자, 소방 담당자.. 모두 화이팅!!!!!!!

댓글